환율 2

한국 투자자의 미국 주식 리스크는?

오늘 영국의 경제전문 일간지 Financial Times “Opinion”란에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가 “The dollar has further to fall” (달러가치는 더 하락할 것이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습니다.기고문에서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달러 가치 하락이 향후 더 큰 하락을 예고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달러 가치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해외 투자자들의 미국 자산 비중 감소를 지적하며, 만약 해외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줄이면 달러는 더욱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합니다그러나 이 이코노미스트는 달러 가치 하락이 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지위 하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합니다. 즉, 달러는 여전히 주요 거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달러 약세는 미국 수출 가격을 낮춰 무..

환율 2025.04.24

원/달러 환율 단기 과잉조정—원화의 구조적 약세에 맞선 단기 강세

원/달러 환율 단기 과잉조정—원화의 구조적 약세에 맞선 단기 강세원/달러 환율 1,420원 하회원/달러 환율이 1,420원 선을 하회한 것은 두 사건이 겹친 결과다. 첫째,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며 정치 리스크 프리미엄이 빠르게 소거됐다. 둘째, 트럼프발 관세 충격으로 미국 성장전망이 후퇴하면서 달러지수(DXY)가 3년 만의 저점대로 후퇴했다. 국내 정치 안정과 글로벌 달러 약세라는 ‘쌍둥이 순풍’이 원화에 강세환경을 부여한 셈이다.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변수들환율 하락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요인을 살펴야한다. 하지만, 한국 원화를 둘러싼 구조적 요인은 원화 강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구조적 원화 약세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트럼프 행정부의 25% 고율 관세가 7월 ..

환율 2025.04.17